- 교육 및 IT · BT · ICT · 태양광 융·복합도시 컨셉
- 산업 특화 : 태양광·신재생 에너지 → 혁신도시 중심의 에너지 클러스터 구축
- 도시 특화 : 교육 · ICT → 공공기관과 연계한 미래형 교육도시, ICT 기반의 스마트 라이프가 구현되는 스마트도시
>동삼지구 (해양·수간 클러스터)
기간 |
특징 |
혁신공간계획 |
2007 ~ 2012 |
1단계 태동기
(이전공공기관 정착단계) |
- 혁신주체: 산학연관 클러스터 본부로 관주도
- 혁신체계 유형: 혁신기반강화형 혁신체계
- 공간규모: 산업기술단지 규모
- 혁신기능: B·IT지연산업(정밀기기, 정밀화학, 메카트로닉스, 환경산업)/
산업기술단지 기능 포함
- 거버넌스: 제한형
- 혁신유형: 정부주도형/지역내포형
|
2013 ~ 2020 |
2단계 확장기
(산학연 정착단계) |
- 혁신주체: 산학연관 클러스터 본부 + 지역혁신협의회 관-민 주도
- 혁신체계 유형: 혁신지원확장형 혁신체계
- 공간규모: 테크노폴리스 규모
- 혁신기능: BIT 융합산업(e-learning/U-health 기기/ Bio-Medi 관광문화/
교육문화콘텐즈 (테크노폴리스 기능 포함)
- 거버넌스: 계층형
- 혁신유형: 자생형/글러벌형
|
2021 ~ 2030 |
3단계 성숙기
(혁신확산 단계) |
- 혁신주체: 산학연관 클러스터 본부 + 지역혁신협의회 민간 주도
- 혁신체계 유형: 혁신역량완성형 혁신체계
- 공간규모: 혁신도시 규모
- 혁신기능: BIT산업 스핀오프 활성화 (테크노폴리스 기능 +
혁신촉진 기능 포함)
- 거버넌스: 유연적 중첩형
- 혁신유형: 네트워크형/상호작용형
|
도시개발체계 설정
혁신중심지구 개발 : 혁신도시 중추 기능인 혁신중심지구를 혁신도시 중앙을 통과하는 주간선도로를 따라 계획하여
균형적인 개발과 광역도시기능 수행 기반 마련
중심/거점상업지구 개발 : 생활권의 분배와 걸어다니는 도시를 실현하기 위한 개발 축 설정
충북혁신도시 토지이용계획도

혁신중심지구 개발 개념
조성방향
- 지식기술산업 유치를 통한 창조적 도시기능 수행
- 편익과 공공서비스가 집중되는 지리적 중심에 입지
- 도시성(Urbanity) 확보를 위한 압축개발
- 지역특성을 살린 랜드마크, 사람들이 모이는 휴식교류의 장소
혁신중심지구 기능
이전기관 + 업무시설 + R&D + 혁신지원센터 + 중심상업시설 + 휴식공간