공공기관 지방이전으로 수도권은 양적 성장에서 질적 발전으로 전환되며,
지방은 인재가 모이고, 경제가 살아나는 곳이며 새롭게 태어납니다.
이전기관 종사자와 관련된 인구의 이동으로 수도권의 인구가 분산되어, 수도권의 인구 안정화를 기대
- 공공기관지방이전 추진 후, 수도권소재 공공기관은 약 85%에서 35%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
공공기관이전 정책시행 전·후 공공기관 분포 비교
※ 공공기관 지방이전 계획이 성공적으로 추진되면 수도권 소재 공공기관의 숫적 비중은 현재 약 85%에서 35%수준으로
감소될 것으로 예상
연구·교육연수기관 등의 지방입지는 지방대학의 연구기능을 보완하여 산·학·연 협동에 의한 지역혁신 체계구축
공공기관의 지방대학 졸업자 채용기회 증가 및 이로 인한 지방대학과 지역의 연구·교육기관의 질 제고에 기여
이전기관으로 인한 지방세 수입 증가로 지방재정 확충 기여
- 175개 이전대상 공공기관의 2002~2004년간 지방세 납부액: 2,268억원(연평균 756억원)
지역특화산업과 연계하여 지역산업발전 및 특성화에 기여
지방으로 이전을 희망하는 민간기업 본사의 지방이전 촉진 전망
- 기업본사의 지방이전에 대한 애로요인 조사(2000년 국토연구원) : 행정기관의 수도권 집중 49.35%, 각종정보의 수도권
집중 28.8%
국토연구원 연구 결과