대구시 동구 신서동 일원 422만m²
국토 동남권의 지리적 이점과 풍부한 고급인력을 바탕으로 교육·학술기능군을 이전하여 세계적인 교육과 학술산업의
중심도시로 육성
기본목표
목표
개발컨셉
기본구상 지표
구분 | 기본구상방향설정연구(국토부) | 대구혁신도시 |
---|---|---|
계획인구 규모 | 2~5만 | 2.2만명 |
도시개발 규모 | 82 ~ 165㎡/인 | 422만㎥ |
개발 밀도 | 중밀 | 고밀 |
인구 밀도 | 250 ~ 350인/ha | 420인/ha |
공공기관청사부지 | 72 ~ 115㎡/종사자1인 | 31만㎡ |
산학연클러스터 부지 | 입지수요반영 | 20%반영 |
유보지 | 미래토지수요를 위한 적정수준 |
도시공간구조구상
혁신도시 도시공간구상
개발방향
지방정부, 지방대학, 지역기업, 연구소 등
다양한 지역내 혁신 주체들이 다양한
영역에서 협력하여 새로운 혁신을 창출,
지역 발전을 도모
혁신도시의 지리적 요충지에 혁신 클러스터를
입지
도시전체의 이미지 결정
커뮤니티 회랑(Community Corridor)
솔라시티 및 그린에너지 전략
혁신도시의 위상
주거지조성기법
이웃들과의 자연스러운 만남을 유도할 수 있는 장소
및 시설에 대한 계획
중심가로변 도시성 창출과 주ㆍ야간활동을 유도할 수
있는 토지이용계획 고려
공공기관의 주도로 실험적ㆍ미래지향적인
임대주거단지 조성
임대단지와 분양단지 간의 사회적 계층통합을
유도하는 방안모색
통과교통을 억제하는 도로구조
마을단위 형성을 위한 적정규모 확보
단독 주택지 중심에 마을 마당 조성